연소의 형태
1. 개요
연소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의 3요소가 화학반응을 통해 빛과 열을 발생시키는 산화반응이다. 연소의 형태는 가연물의 종류와 연소방식에 따라 확산연소, 예혼합연소, 증발연소, 표면연소, 분해연소, 내부연소 등으로 구분한다.
2. 연소의 형태

가. 기체연소
1) 기체연소는 가연성가스가 공기층의 산소와 혼합하는 방식에 따라 확산연소와 예혼합연소로 구분되어있다. 확산연소의 연소방식에는 적화식이 있고, 예혼합연소의 연소방식에는 분젠식과 세미분진식, 전1차공기식이 있다.
2) 확산연소 : 비균질연소
확산연소는 가연성가스를 공기에 분출하여 화염의 확산에 의해 가연성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하여 연소한다.
3) 예혼합연소 : 균질연소
예혼합연소는 가연성가스를 미리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한다. 분젠식은 노즐에서 가스의 분출압력으로 1차공기(약40~70%)를 취하고 화염의 확산에 의해 2차공기를 취하여 연소한다.
나. 액체연소
액체연소는 액체가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액면에서 증발하는 가연성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증발연소이다.
다. 고체연소
1) 표면연소 : 목탄, 코크스 등은 공기중의 산소를 흡착하여 표면에서 연소한다.
2) 분해연소 : 종이, 목재 등은 고온에서 열분해가 열분해가 뛰어나고 이때 발생하는 가연성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하여 연소한다.
3) 증발연소 : 황, 나프탈렌 등의 승화성 가연물에서 증발하는 가연성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하여 연소한다.
4) 내부연소 (자기연소)
니트로화합물, 셀룰로이드 등은 외부의 산소가 없어도 자체의 산소를 소모하여 연소한다. 내부연소는 자체의 산소를 소모하기 때문에 연소속도가 빠르고 폭발적이다.
3. 결론
연소의 형태는 가연물의 종류와 연소방식에 따라 구분한다.
기체연소는 가연성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하는 방식에 따라 확산연소와 예혼합연소로 구분한다. 액체연소는 액면에서 증발하는 가연성가스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증발연소이고, 고체연소는 연소방식에 따라 표면연소, 분해연소, 증발연소, 내부연소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