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PE
이상연소현상 본문
1. 개요
연소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의 3요소가 화학반응을 통해 빛과 열을 발생하는 산화반응이다. 연소의 이상연소현상에는 불완전연소, 역화, 리프팅, 황염 등이 있다.
2. 불완전연소
가. 개념
공기의 공급이 충분하고 적정온도를 유지하면 가연물은 연소하여 인산화탄소와 수증기로 되는데 이를 완전연소라고한다. 그러나, 공기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연소온도가 낮으면 부롱안전연소가 되어 일산화탄소(CO), 그을림(C) 등을 발생한다
나. 발생원인
1) 공기의 공급이 부족할 때
2) 불꽃이 저온의 물체에 접촉되어 연소온도가 낮아질 때
3. 역화(Back fire, Flash back)
가. 개념
가스의 연소속도가 분출속도보다 빠를 때 화염이 염공 속으로 들어가서 혼합관에서 연소하는 현상
나. 발생원인
1) 가스의 공급압력이 낮을 때
2) 노즐의 구경이 작을 때
3) 염공이 크거나 부식에 의해 확대되었을 때
4) 댐퍼를 과다하게 개방하여 혼합가스의 연소속도가 빠를 때
4. 리프팅 (Lifting, 부상화염(Lift Flame), 선화, 비화)
가. 개념
가스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보다 빠를 때 화염이 염공 위에 떠서 연소하는 현상
나. 발생원인
1) 가스의 공급압력이 높을 때
2) 노즐의 구경이 클 때
3) 염공이 작거나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4) 댐퍼를 과다하게 개방하여 혼합가스량이 많을 때
5. 황염(Yellow Tip)
가. 개념
화염의 끝이 적황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탄화수소의 열분해로 발생한 탄소입자가 미연소인 상태로 적열되어 적황색이 된 것.
나. 발생원인
1) 공기의 공급이 부족할 때
2) 공기중에 수분이 많을 때
6. Blow off
화염 주위 공기 유동이 너무 강하여 화염이 염공에서 날려 꺼지는 현상
7. 결론
연소의 이상연소현상에는 불완전연소, 역화, 리프팅, 황염 등이 있다. 불완전연소는 일산화탄소( CO )를 발생하여 CO 중독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이상연소현상은 연소효율을 나쁘게 하기 때문에 가스의 공급압력, 공기량, 노즐, 염공 등을 적합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Gas > 이론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발의 종류 (물리적 폭발과 화학적 폭발의 구분) (1) | 2024.06.02 |
---|---|
연소소음의 종류 (0) | 2024.06.02 |
연소의 형태 (0) | 2024.05.27 |
이론연소속도 / 실제연소속도 (0) | 2024.05.27 |
연소속도 / 화염전파속도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