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PE
폭발재해의 형태, 폭발의 유형 본문

1. 개요
폭발은 정상연소에 비해 연소속도와 화염전파속도가 매우 빠른 비정상연소로 연소반응이 급격히 진행되어 열과 빛을 내는 것 이외에 폭음과 충격파를 발생한다. 폭발재해의 형태는 점화원을 필요로하는 단순착화형, 반응열의 축적에 의한 자연발열형, 과열액체의 증기에 의한 증기폭발형으로 구분한다.
2. 폭발재해의 형태와 방지대책
가. 단순착화형 : 점화원을 필요로 하는 폭발
1) 착화파괴형
가) 용기내의 가연물이 착화되어 압력상승에 의한 용기의 파열
나) 방지대책 : 가연물의 조성관리 / 불활성화 / 점화원의 관리
2) 누설착화형
가) 용기에서 누설된 가연물이 착회되어 폭발
나) 방지대책 : 가연물의 누설방지 / 가스누출경보기의 설치 / 밸브의 오조작 방지 / 점화원 관리
나. 자연발열형 : 반응열의 축적으로 인한 폭발
1) 자연발화형
가) 가연물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반응열이 제거되지않고 축적되어 자연발화에 의한 폭발
나) 방지대책 : 가연물 저장실 온도 낮게 / 통풍이 잘 되게 / 습도 높은상황 X / 퇴적방법의 개선으로 열 축적X
2) 반응폭주형
가) 반응개시 후 반응열이 축적되어 반응폭주에 의한 폭발
나) 방지대책 : 발열반응의 특성조사 / 반응속도의 계측관리 / 냉각장치, 교반장치의 설치
다. 증기폭발형 : 과열액체의 증기에 의한 폭발
1) 열이동형
가) 저비점의 액체가 고온의 물체에 접촉되었을 때 저비점의 액체가 급속이 증발하여 폭발
나) 방지대책 : 작업대의 건조 / 물의 침입방지 / 저온 액화가스의 취급주의
2) 평형파탄형
가) 액화가스 용기가 파열되었을 때 액화가스가 폭발적으로 증발하여 폭발
나) 방지대책 : 용기의 강도 유지 / 외부의 하중에 의한 파열 방지 / 용기 화염노출 방지
3. 결론
폭발재해의 형태는 점화원을 필요로 하는 단순착화형, 반응열의 축적으로 인한 자연발열형, 과열액체의 증기에 의한 증기폭발형으로 구분된다.
'Gas > 이론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t Fire , Pool Fire, Flash Fire (0) | 2024.06.06 |
---|---|
분진폭발과 폭연지수 (0) | 2024.06.06 |
폭발의 종류 (물리적 폭발과 화학적 폭발의 구분) (1) | 2024.06.02 |
연소소음의 종류 (0) | 2024.06.02 |
이상연소현상 (0) | 2024.05.27 |